오래전, 구석에 방치했던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인 김프(Gimp)를 다시 꺼내 들었다. 예전 내가 사용했던 김프는 한글을 95% 지원하는 2.8이었지만 지금은 2020.02.23.에 업그레이드한 2.10.18이라 그런지 한글을 지원하기는 해도 영어가 많다. 참고로 김프는 https://www.gimp.org/downloads/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알고 있듯이 김프는 자유소프트웨어로 회사, 단체 등 기관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2.8 버전 설치할 때는 영어였지만 2.10.18 버전을 설치할 때는 한글로 설치할 수 있었다. 2.8 버전에서는 한글 설치를 지원하지 않았다.
예로 2.8 버전을 사용할 때 필터(Filters)를 보면 거의 한글이었는데 아래 그림을 보듯이 2.10.18 버전을 보니 거의 다 영어다. 2.8에서는 Filters라는 이름도 한글로 필터였지만 2.10.18에서 영어...참고로 2.8 버전의 그림을 캡처하지 않았다.
가장 아쉬운 것이 한글 폰트의 경우 한글 이름이 나왔다면 한글이 아닌 영어로 나온다는 것이다. 한글을 입력할 수 없다는 것이 아니라 한글 폰트 이름을 한글이 아니라 영어가 나온다는 것이다. 가령 맑은 고딕이라는 폰트를 찾고 싶다면 폰트의 영어 이름인 malgun gothic 이름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이름인 나눔고딕,스웨거 폰트 등을 찾고자 한다면 nanum gothic,swagger를 찾아야 한다. 단, 나눔고딕, 스웨거 폰트는 설치됐어야 한다. 이렇게 폰트 이름이 영어로 나온다면 상당히 불편하다.
김프를 달 다루시는 분의 홈페이지에서 봤는데 XML을 수정하면 한글 폰트가 한글로 나온다고 하는데 자신은 추천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리고 스웨거 폰트는 http://www.swagger.kr/font.html 에서 다운받을 수 있고 거기에서 저작권 등 사용법을 알 수 있다.
만약 처음 김프를 접하는 사람은 한글을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알 수 있다. 기업 등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기능이 많은 이미지 편집기라는 점은 좋은데 한글 등 다루기가 힘들 것을 알 수 있다.
아래는 김프 2.10.18로 그라디언트 텍스트 만드는 영상을 만들어 봤는데 주된 목적은 그라디언트 텍스트가 아니라 김프가 어떻게 생겼는지 보기 위한 영상이라 보면 된다. 그리고 나의 경우는 2.10.18를 보는 목적도 있다.
김프 홈페이지의 다운로드 페이지 중간 Older Dowloads에서 2.10.18 버전만 아니라 이전 버전도 다운받을 수 있다. 만약 2.10.10 이나 2.8.16 버전도 받을 수 있다. 참고로 아래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다.
'IT.인터넷.생활 관련 > 그래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렌더를 다시 집어 들었다. (0) | 2020.06.12 |
---|---|
김프로 얼굴과 해골 합성 (0) | 2020.06.04 |
김프 원형태로 텍스트 배치 (2) | 2020.05.19 |
김프로 다리 길이 늘리기 (6) | 2020.05.15 |
무료3d프로그램,블렌더를 사용한 후 (0) | 2018.06.05 |
3D프로그램인 블렌더,마야,3ds맥스,오토데스크 정보 (0) | 2017.10.26 |
김프와 블렌더를 이용한 3D글자와 색입히기 (0) | 2016.10.15 |
블렌더에서 한글 입력 (2) | 2016.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