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Point에 대해서 자세히 모르지만 나에게는 젤리는 포인트워크로 모아야 빨리 모을 수 있다. 아래 그림을 보듯이 8100개 이상을 모아야 100%로 교환할 수 있다. 이런 사실을 몰랐을 때는 8100개가 아니어도 젤리를 포인트로 교환한 경험이 생각난다. 이제는 그런 실수를 하지 않는다.
석 달이 걸려 8100 이상의 젤리를 모은 후 포인트 교환했고 그것으로 H mall(hmall.com)에서 기프티콘을 구매했다. 구매한 기프티콘을 니콘내콘에 팔아 현금화시켰다. 기프티콘을 팔 때 원가보다 약 1,000 ~ 2,000원 정도라 상당하지만 현금화가 안되니 어쩔 수 없다.
H.Point로 구매도 할 수 있고 아래 그림을 보듯이 제휴포인트로도 구매할 수 있다. 방금 제휴포인트를 보니 하나머니였다.
H.Point를 몰랐을 때 교환한 2900 젤리가 고작 300 포인트 밖에 안 됐을 때 얼마나 후회했는지...그래서 8100 젤리를 교환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처음 H.Point를 접한다면 교환 비율을 반드시 알았으면 한다.
내가 원하는 문화상품권은 H.Point의 포인트로 결제할 수 없고 다른 상품권을 원하는 것이 없다. 할 수 없이 1,870원을 제외하고 기프티콘을 팔았다.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기프티콘을 팔 때 상품권(기프티콘)에 대한 수수료가 가장 싼 것 같다.
'IT.인터넷.생활 관련 > 앱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프티콘 판매를 위해 앱 2개 (0) | 2024.11.26 |
---|---|
계정 정보를 저장하는 것 중요했다. (0) | 2024.10.23 |
만원이상의 기프티콘 구매가 힘들구나! (0) | 2024.08.30 |
괜찮은 가격에 기프티콘 팔기 (0) | 2024.08.01 |
h.point 젤리를 얼마나 모을 수 있을까? (0) | 2024.05.29 |
앱테크에서도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0) | 2024.05.24 |
포인트로 온라인 쇼핑 (0) | 2024.05.22 |
상품권 사용으로 기프티콘 구매에 대해서 (0) | 2024.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