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은 3년 전에 적은 글이라 지금 관점으로 생각하면 오류가 많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읽기 바라며 티스토리를 오래하면 다른 블로그에 비해 어렵다는 최대 단점이 극복된다. 티스토리를 단기간하면 단점은 단점으로만 남는다. 이 글을 왜 ? 네이버 블로그를 하다가 티스토리로 이사온 경우 티스토리의 어려움에 다시 원래 네이버 블로그로 가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 정착하는데 도움이 될까 합니다. 한가지 아실 점은 제가 본 티스토리의 좋은 점은 자유성이 많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자유성이라 여러분이 이런 것을 하면 될 것 같다고 생각하시는 모든 것이 되는데 좋아라 할 것이 없습니다. HTML과 CSS를 모르면 그 좋다는 자유성이 무용지물이니까요. 티스토리 정착하는데 도움이 되는 점 1. 먼저 HTML/CSS에 어려움..
이 글은 왜? 이번 해에 익스플로러9 정식버전과 파이어폭스 4 정식버전이 나왔다는 것을 아실 것입니다. 익스플로러 9 정식이 나왔을 때는 얼마나 좋을까 사용해 보았는데 추천 등을 하는데는 적절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얼마후 파이어폭스 4 정식버전이 나왔습니다. 파이어폭스4를 실행하고 레뷰에서 추천을 해보니 추천속도가 빨라 크롬 대신에 사용해 볼까 했습니다. 여러분은 모르실지 모르나 레뷰를 하시는 사람은 레뷰가 느리다는 것을 다 아실 것 입니다. 그러나 크롬의 ■ 때문에 파이어폭스로 안 바꿨습니다. 단지 추천만 생각했다면 크롬대신 파이어폭스 4로 브라우저를 바꿨을 텐데 ■ 를 알고 난 후에 크롬을 파이어폭스 4로 바꾸지 못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크롬과 크롬플러스의 북마크(즐겨찾기),확장프로그램,테마 등이 ..
이 글은 왜 썼는가 ? 스킨을 변경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그러나 스킨 변경보다 더 중요한 것이 변경후에는 어떻된다는 것을 알아는 것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스킨을 변경하면 HTML,CSS,사이드바,올린 파일 등이 모두 초기화되어 스킨 변경전에는 제대로 작동했던 것이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그러므로 다음블로그나 네이버 블로그에서 한 것을 생각해서 티스토리에서도 스킨 변경이 쉽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예로 네이버 블로그에서는 스킨의 HTML/CSS가 아닌 이미지만 변경한 경험이 있어 티스토리에서 스킨 변경을 간단하게 생각하면 큰 코다칩니다. 스킨 변경전 반드시 해야 할 것과 알아야 할 것 아래에서 스킨 변경전 반드시 해야 후회하지 않을 것을 몇가지 적어 보려합니다. 티스토리의 스킨 변경은 다음 블로그나..
이 글이 추천스킨 후에 오면 좋았는데 아쉽네요. 여기서 설명할 내용은 나눔고딕이 기본으로 된 스킨을 쓰자입니다. 이 글을 쓰면서 http://min-blog.tistory.com/400 에서 블로그의 글꼴(폰트)를 나눔고딕으로 바꿔 보았습니다.그러나 이렇게 하는 것은 CSS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상당히 어려울 것 같은데 그럴 바에는 처음부터 스킨을 수정하지 않아도 나눔고딕으로 된 스킨이 어떨까 합니다. 참고로 http://min-blog.tistory.com/473 에서는 블로그 글꼴(폰트)를 맑은 고딕으로 해 보는 것을 다루었습니다. 나눔고딕이 기본인 스킨 스킨을 수정할 필요없이 아래에서 소개한 스킨의 글꼴은 나눔고딕이니 그런 스킨을 받으면 블로그를 나눔고딕으로 할 수 있습니다. 개인이 블로그에서 배포하..
이때 내가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지 못 하고 글을 적었다. 이 글을 적었을 때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단순히 웹하드 정도로만 생각했다. 지금 클라우드 서비스는 오피스, 이미지 에디터, 이미지 필터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니...BY 백전백승 2015.2.2이제는 다음의 클라우드만이 아닌 N드라이브 등 다른 웹하드에서도 공유 기능이 있으니 그것을 감안해서 아래 글을 읽기를 바랍니다. 이 글을 쓴 계기와 말할 것 해피위자드님의 부모님 PC에 손자 사진을 자동전송 하는방법? 을 보고서 파일 공유에는 다음의 웹하드인 클라우드가 좋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기존에는 네이버의 웹하드인 N 드라이브로 파일을 서로 공유하면 좋을 것이라 생각을 했거든요. 그러나 네이버의 웹하드인 N드라이브에서는 네이버 ..
이 글에서 설명할 것 글을 티스토리외 4개의 블로그에 올릴 때 댓글 금지하는 것에 대해서 살펴보는겠습니다. 거기다가 블로그에는 PC 페이지와 모바일 페이지가 있는데 모바일 페이지에서 댓글 금지에 대해서도 다루겠습니다. 티스토리에서 댓글 금지 티스토리에서는 공개 설정에 권한에서 댓글 허용을 체크하지 않는다면 글에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 아래 그림은 댓글(0)이라고 나왔는데 글에 댓글이 없어도 아니처럼 나오나 티스토리에서는 댓글을 달 수 없는 경우도 아래처럼 나옵니다. 아래를 읽으시면 여기서 설명하는블로그에는 아래처럼 안 나온다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에서는 댓글을 접고 펼칠 수 있는지라 글에 댓글을 달 수 있나 하고 위 그림에서 댓글을 누르게 됩니다. 위에서 글의 댓글을 허용하지 않았으므로 여..
지금은 없지만 예전에는 뷰애드박스라는 것이 있어서 다음뷰의 활동지원금이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이 글에서 설명할 것 블로그를 하면서 스트레스를 주는 것을 제거하면서 블로그를 스트레스에 벗어나는 것이 어떤가 합니다.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면 알겠지만 저는 블로그를 즐기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것입니다.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적겠으니 여러분에게 해당사항이 없을 수 있으니 흥분하지 마세요. 애드센스 제거 저는 2009년 네이버 블로그를 하다가 지난해 티스토리로 이사와서 애드센스를 달고서 엄청 애드센스에 신경썼습니다. 애드센스에 신경쓰면 검색엔진으로 유입된 경우가 수입이 높다는 글을 읽어서 검색엔진 최적화,방문자수만 아니라 클릭수,광고 단가, 수입 등 신경쓸 것이 정말 많았습니다. 애드센스 클릭수나 수입 등이 높이..
이 글에서 말할 것 전에 BASIC 2008 스킨의 폰트(글꼴)을 나눔고딕으로 해 보았는데 블로그에 아래 그림과 같은 Life In Moon(light) 스킨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아 이 글에서는 그 그 스킨을 사용하는 블로그를 맑은 고딕으로 해보는 것에 대해 다루어 보겠습니다. Life In Moon(light) 스킨은 피터님의 블로그,정민아빠님의 블로그,HS 다비드님의 블로그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티스토리에서 맑은 고딕으로 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다음 블로그나 네이버 블로그에서 설정은 http://min-blog.tistory.com/472 글을 읽으시면 됩니다. 만약 블로그를 맑은 고딕이 아닌 나눔고딕으로 하고 싶다면 나눔고딕과 맑은 고딕의 순서를 바꾸면 되는데 그것은 아래에서 설명합니..
이 글을 말할 것 여기에서는 티스토리에서 폰트(글꼴)를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 다룰 것이 아니라 제가 생각하기로 폰트(글꼴) 설정 등은 다음 블로그,네이버 블로그인 포털블로그에 비해 티스토리가 좋다는 것을 말하려고 합니다. 참고로 티스토리에서 나눔고딕 웹폰트 적용은 http://min-blog.tistory.com/419를 보시고, 티스토리에 나눔고딕으로 하는 것은 http://min-blog.tistory.com/400를 참조하세요. 아래 더보기를 클릭하시면 여기 글을 읽는데 도움이 되는 글이 있습니다. 이 글을 이해하기 힘드시다면 아래 더보기를 클릭하세요. 아래더보기를 봐도 이해가 안 되면 할 수 없고요. 웹폰트에 대해서 간단히 : 여기 글을 이해하려면 반드시 웹폰트에 대해서 알아 두어야 할 것 같습니..
이 글에서는 http://min-blog.tistory.com/469 에서는 Q 등으로 티스토리에 로그인하는 것에 대해서 다루었는데 여기서는 크롬에서 로그인하는 것이 대해서 정리하려 합니다. 그러니 http://min-blog.tistory.com/469 이 먼저 보시는 것이 여기에서 다루는 글을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1차주소가 아닌 2차주소(도메인,개인도메인)을 사용하는 티스토리에서 로그인하는 것에 대해 다룹니다. 참고로 Q 로그인 오류로 크롬에서 Q 로그인이 어떨때는 되고 안 되고 하니 저도 헷갈립니다. 크롬에서 로그인에 대해 다루기 전에 저의 블로그를 방문한 사람의 브라우저는 무엇인지 알아야 할 것 같습니다. 그것을 알기 위해 저는 블로그에 구글애널리틱스라는 통계 프로그램을 설치했는데..
ABOUT : 티스토리를 포함하여 다양한 블로그, 모바일 앱, 웹, 웹 앱, 프로그램, 브라우저 등 도움이 될만한 유용한 정보를 적고 있다. 그런데 티스토리를 오래 해서 이제는 쓸 것이 마땅하지 않다. 중복되는 내용도 많아 짜증 날 것이며 나도 그 글을 볼 때 짜증 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