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생활 관련/운영체제

(67)
아쉽다! 클라우드레디, 어떨까? 리눅스 티스토리 임시저장의 불안함으로 항상 글을 쓴 후 비공개 예약으로 저장했다. 정확히 기억은 없지만 이 글을 메모(?) 한 한 시점이 1년 정도 넘었을 것이다. 이 글을 발행하면 비공개 예약으로 저장한 글이 하나만 남는다. 이 글을 계속 비공개 예약으로 놔두기 아까워 발행하기로 했다. 여담은 이 정도만 하고 USB에서 프로그램 실행에 대해서 적으려고 한다. 클라우드레디 내가 크롬OS와 비슷한 무료 운영체제(OS)인 클라우드레디를 8GB USB로 만들었다. 보통은 설치를 위한 USB를 만드는데 클라우드레디는 가벼워서 디스크가 아니라 USB에 설치한 것이다. 디스크가 아닌 USB에 운영체제를 담을 수 있다는 것에 마음에 들었다. 윈도우 등은 말이 안 될 것이다. 그만큼 가볍다. 참고로 아래 글에서 클라우드레디 ..
리눅스에서 부가기능을 설치할 수 없다니... 아래 그림은 마이크로오피스 365의 웹오피스 중에 워드(Word)이다. 마이크로소프트 365는 리눅스 버전이 없지만 웹브라우저로 사용할 수 있는 마이크로소프트365에서 제공하는 웹오피스로 워드/엑셀/파워포인트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래 그림에 나온 빨간색 사각형 문구를 보고 실망을 했다. 특히, 내가 윈도우가 아닌 Linux(리눅스 민트)를 사용하므로 씁쓸했고 웹오피스는 운영체제와 무관하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니었다. 리눅스에서 마이크로소프트365 웹오피스를 사용하니 추가 기능을 사용할 수 없어서 추가 기능 앱을 설치할 수 없었다. 다만, 아쉽게도 내가 과거 윈도우에서 설치했던 추가 기능 앱만 사용할 수 있었다. 참고로 아래 두 번째 그림에 설치한 빨간색 박스 안 Pixaba..
리눅스를 생각 중이라면 하모니카를 먼저 접근? 현재 나는 우분투, 민트 등 많은 리눅스 배포판 중에 하나인 민트를 사용 중이다. 많은 리눅스 배포판을 사용해 결정한 것이 나에게 맞는 것이 리눅스 민트인 것 같아 선택했다. 참고로 처음 리눅스 배포판 중에는 우분투를 설치했다. 우분투 한국 커뮤니티 : https://ubuntu-kr.org/ 우분투한국커뮤니티 가장 널리 쓰이는 리눅스 배포판 우분투(Ubuntu)는 가장 널리 쓰이는 오픈소스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 입니다. 사용하기 쉬운 리눅스 데스크탑, 인프라 운용 소프트웨어 구성이 쉬운 서버용 리눅 ubuntu-kr.org 엄청 고생했다 몇 개월 동안 리눅스 민트를 사용하면서 한글 매뉴얼 및 팁이 없어 엄청 고생했다. 리눅스 초보라 한국 리눅스 민트 사용자 모임이라는 사이트에서 민트에 대한 많은 정보..
운영체제에서 특정 운영체제 프로그램 실행 나는 리눅스만 아니라 윈도우 버전도 있는 오피스 프로그램인 리브레 오피스, 그래픽 편집 프로그램인 김프, 잉크스케이프, 블렌더,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인 샷컷, 녹화 프로그램인 OBS이 있다. 그리고 윈도우 버전도 있는 리눅스를 사용하면서 알았던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인 kdenlive, 오픈샷, 그래픽 편집 프로그램인 krita가 있다. 이 프로그램을 태블릿PC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MS서피스 등 윈도우 운영체제 태블릿만 고려했다. 얼마 전,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특정 앱을 설치하면 리눅스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즉, 갤럭시 탭 등 안드로이드 태블릿에 리눅스(Linux)에서 인기 있는 배포판인 우분투(Ubuntu)를 설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민트(mint), 하모니카 등 다른 ..
윈도우 운영체제에 S 모드라는 것이 있다. 며칠 전부터 MS 서피스 등 윈도우 운영체제 태블릿에 적는데 윈도우 운영체제 태블릿에 장착된 운영체제에 윈도우 11 S 모드가 있어서 이 글에서 적으려 한다. 윈도우 운영체제에 S 모드 라는 것이 있다. 윈도우11 홈이라면 윈도우(Windows) 11 홈에 S라는 것을 더 해 윈도우 11 홈 S라는 것이 존재한다.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는 S 버전이 없다고 알고 있다. 윈도우 S 모드 구입은 할 수 없고 기기에 설치 탑재된 상태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Windows(윈도우) 11 S 모드는 친숙한 Windows 환경을 제공하는 동시에 보안 및 성능을 위해 간소화된 Windows 11 버전입니다.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Microsoft Store(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의 앱만 허용하고 안..
리눅스 민트에서 프로그램 다운로드 파일 WPS 오피스를 리눅스 민트에 설치하여 사용 중이다. 거기에서 제공하는 스프레드시트 앱을 실행시키니 업그레이드하라는 메시지 창이 떴다. 그리고 업그레이드를 위한 확인 버튼을 누르니 브라우저가 업그레이드를 위한 페이지로 이동했다. 그런데 아래처럼 다운로드 페이지가 나왔는데 다운로드에 Deb Package와 Rpm Package 두 가지 였다. 둘의 차이는 몰랐지만 리눅스 크롬을 받을 때 Deb을 다운로드했던 기억이 났다. 그래서 Deb Package를 다운로드했고 설치했다. 민트에서 설치에 아무 문제 없었다. 아래 그림을 보듯이 다운로드한 파일형식을 보면 .deb이다. 그러면 위 Deb Package는 .deb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알겠지만 Rpm Package는 .rpm이라는 것을..
프로그램으로 픽한 리눅스 이 글에서 프로그램으로 본 내가 사용한 리눅스 배포판 사용 소감을 적어보려 한다. 내가 설치해서 사용한 리눅스 배포판은 외국에서 만든 우분투와 민트이고 우리나라에서 만들어 배포한 민트 기반의 하모니카이다. 거기에서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그래픽 프로그램, 녹화 프로그램 등을 설치해 사용하면서 개인적으로 어떤 배포판이 나에게 맞았는지 적으려 한다. 리눅스에 설치한 대부분 프로그램이 내가 윈도 10에서 사용했던 프로그램이다. 우분투 처음으로 내가 설치한 리눅스 배포판이 우분투(Ubuntu)다. 왜 우분투냐고 한다면 리눅스에 대해 아는 것이 없어서 특별한 이유 없이 인기가 있고 다른 리눅스 배포판보다 최근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노트북에 설치된 윈도10을 제거하고 우분투 20.04 LTS를 설치했다. ..
리눅스, 하모니카를 4에서 5으로 업그레이드 내 노트북에 리눅스인 하모니카 OS를 4.0을 5.0으로 업그레이드했다. 하모니카 5.0 Hana 베타 설명에 나온 하모니카 웹하드(클라우드) 등 많은 것이 궁금했다. 참고로 하모니카 5.0 Hala 베타에 대한 소개는 https://hamonikr.org/download_HANLA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하모니카 업그레이드는 이 페이지의 내용을 따라 했다. 업그레이드에 약 10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아래 그림은 내 하모니카 4.0 Jin을 5.0 Hala 베타로 업그레이드한 그림이다. 업그레이드는 어렵지 않았고 거의 변한 것이 없는 것 같다. 눈에 띄는 것은 오피스에 마이크로소프트(MS) 온라인 오피스 제공과 온라인 계정에 2GB 용량인 하모니카 클라우드(웹하드) 제공 등이다. 2GB를 제공하는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