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생활 관련/AI 관련

(14)
AI 챗봇의 답변을 100% 신뢰?! 요즘에 정보를 찾을 때 오픈AI의 챗GPT나 구글의 제미니(Gemini) 등을 이용하여 AI  챗봇을 사용하여 검색한다. AI 챗봇을 사용하면 원하는 정보를 깔끔하게 정리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시간 절약에 딱 안성맞춤이고 추가할 것이 있다면 추가할 수도 있으니 좋다. 그리고 정보 말고도 대화 상대로도 좋다. 뭐든지 물으면 짜증 내지 않고 대답한다. 그런데 문제는 정보의 정확성이다.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다.  내가 알기로 AI 챗봇은 블로그, 사이트, 뉴스 기사 등에서 정보를 가져와 최적의 답변을 한다고 알고 있다. 맹신하게 된다면 언제든 가짜 뉴스를 진짜처럼 둔갑할 수 있다.예전에 시중은행의 파킹통장 금리는 물어봤는데  현재 그 파킹 통장의 금리는 3%인데 내가 질문한 모든 AI 챗봇은 3.5%라고 했다..
고작 4초인 무료 AI 동영상 만들기 며칠 동안 AI로 사진을 만드는 것에 즐기다가 동영상 만드는 것에도 관심이 생겼다. 전에 AI로 사진을 자연스러운 동영상을 만드는 사이트에 대해 적었다. 그 사이트는 D-ID나 MYHERITAGE로 업로드한 사진이 말하도록 하는 사이트로 하나는 한글을 지원하고 다른 하나는 영어만 지원하는 사이트로 아주 만족스러웠다. 나에게 큰 단점은 무료에서 몇 번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이번에도 AI로 사진을 동영상으로 만들게 하는 사이트인 Gen-1과 Gen-2 등을 사용하는 runway라는 것을 사용하는 https://runwayml.com/라는 사이트를 알게 됐다. 위에 설명한 d-id와 myheritage 사이트와 다른 점은 프롬프트라는 것을 입력하여 어떻게 동영상을 만들 것인가 정할 수 있다. 또한 마스..
크롬에서 빙AI를 사용할 수 있었네! 이 글에서 내가 빙 AI 검색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 적어보려 한다. 처음 빙 검색에서 AI 검색이 출시했을 때 브라우저는 오직 엣지(Edge)만 가능했다. 그런데 AI 검색에 대한 글을 적으면서 우연히 크롬으로 빙에 접속했다. 빙 AI 검색인 채팅이 크롬에서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래서 아래 그림처럼 크롬에서 빙 AI 검색인 빙 채팅을 이용할 수 있는 브라우저에 대해 물었다. 참고로 사용한 크롬 버전은 버전 119.0.6045.159(공식 빌드)이다. 위 질문에 대한 답변이 엣지(Microsoft Edge)만 나와 크롬에 대해 물었다. 그랬더니 언제 업데이트 됐는지 몇 분 사이에 크롬도 된다고 나온다. 위에서는 엣지만 사용해야 한다고 하고 몇 분 사이에 크롬에서도 된다고 하고 웃긴다. 어제 질문할 때는..
AI 검색 시대로 접어 들었구나! 처음 내가 AI 검색을 접했을 때 것은 챗GPT였고 지금까지 접하지 못한 묻고 답하는 형식의 방식이어서 신세계였다. 그런 점이 엉터리 답변의 단점을 흡수했다. 왜냐하면 신선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빙 검색의 AI, 구글의 바드가 생기면서 내 눈높이도 높아졌다. 더 이상 무료 챗GPT의 엉터리 답변이 용납되지 않았다. 선택할 곳이 많아졌으니 엉터리 답변을 하는 무료로 제공하던 챗GPT는 떠났다. 무료 챗GPT에서 웃긴 것이 한국의 대통령에 대한 간단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못한다. 유료가 아닌 무료 챗GPT에 대한 환상은 접어두었으면 한다. 유료가 아닌 무료로 챗GPT를 이용한다면 한국의 대통령이 누구냐고 질문해 봤으면 한다. 빙 AI 처음으로 챗GPT를 접했을 때 무료인 챗GPT의 엉터리 답변이 많아 떠났..
AI로 인물 사진을 말하는 동영상으로 이 글에서 사진을 동영상으로 만들어주는 것에 대해서 적으려고 한다. 사진으로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것을 찾아보다가 인물 사진을 자연스럽게 말하는 동영상을 만들어주는 사이트를 알게 됐다. 사이트 중에 정지한 사진이 움직이면서 입술이 움직이면서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충격이었다. 그중에서 충격적으로 다가온 것이 사람 얼굴 사진을 올리면 한글로 해당 언어로 말하는 것이었다. 단순히 입술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말하는 것과 같았다. 사진에서 얼굴 등이 자연스럽게 움직이는 동영상 한글을 자연스럽게 읽어주는 동영상 예전 TTS 및 자막을 말하는 프로그램을 소개할 때 아바타가 문장을 읽어주거나 자막을 읽어주는 것을 접해 아무렇지도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내가 업로드한 사진과 문장을 말하도록 하는 영상을 만..
마음에 들었던 챗봇 AI,챗GPT 일까? 내가 사용했던 챗봇 AI인 챗GPT, 구글의 바드, 빙 AI에 대한 간단한 소감에 대해 적어보려 한다. 챗GPT 언론에서 챗GPT에 대한 환상을 심어주어 무료인 챗GPT를 사용했다. 처음 사용했을 때는 내가 모르는 분야를 질문했으므로 챗GPT의 답변이 맞는지 몰랐다. 답변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해 내가 정확히 아는 분야인 해외가 아닌 국내 블로그 분야를 질문했는데 답변은 그야말로 엉터리였다. 다음 블로그, 이글루스 등 국내 블로그를 주로 질문했다. 처음에는 해외 블로그인 텀블러를 질문했다. 그때는 내가 텀블러를 자주 다루는 것이 아니므로 그 답변이 진실 여부를 몰랐다. 국내 블로그를 질문한 후 환상으로 가득 찼던 챗GPT가 실망으로 채워졌다. 아래 그림에 나왔듯 2021년 9월까지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
굳이 한글을 지원하는 AI 이미지 생성기를 찾으라면... 아래 이미지는 https://playgroundai.com/라는 홈페이지에서 AI를 이용하여 생성한 것이다. 그 사이트의 어려운 점은 키워드를 한글이 아닌 영문을 입력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예로 아래 첫 번째 그림 같은 사진을 만들려고 한다면 여자와 관련된 많은 단어를 영문으로 입력해야 한다. 생각만 해도 너무 어렵다. 참고로 아래는 다른 사람이 생성한 이미지를 퍼왔다. 그리고 내가 알기로 거기에서 생성한 이미지는 저작권이 없는 것으로 안다. 4억개 이상의 이미지를 유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https://www.shutterstock.com/ko이라는 홈페이지가 있다. 거기에서도 AI 이미지 생성기라는 것이 있어 AI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AI로 생성된 이미지 사용에 대해서는 그 페이지에 FAQ를..
지금, 구글의 AI 검색인 바드를 사용해야 하는지 의문? 예전에 이 티스토리 https://min-blog.tistory.com/3780에서 챗GPT와 https://min-blog.tistory.com/3797에서 빙 AI에 대해 적었다. 그래서 구글의 AI 검색인 바드(Bard)도 적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바드에 대해 적지 않더라도 경험하고 싶었다. 개인적으로 바드가 챗GPT와 빙 AI와 차이를 알고 싶었다. 구글의 바드(Bard)는 우리나라에서도 아래 링크로 접속할 수 있다. 하지만 바로 사용할 수 없고 아래 그림에 나오는데 Join wailist에 등록해 기다려야 하는 것으로 안다. 참고로 전에는 미국과 영국에서만 시험 서비스를 했었다. 하지만 지금은 우리나라에서도 한다. 구글 챗봇 AI 바드 - https://bard.google.com/ 빙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