텀블러 (22) 썸네일형 리스트형 텀블러라는 주제로 챗GPT와 대화 이 글에서 텀블러에 대해서 챗 GPT와 대화한 것에 대해서 적으려고 한다. 며칠 전, 챗 GPT에 가입한 후 대화를 즐기고 있다. 컵 등이 아닌 마이크로 블로그 플랫폼인 텀블러(Tumblr) 주제로 여러 사항에 대해 질문을 했다. 거기에서 나온 여러 답변을 여기에 적으려 한다. 챗 GPT와 답변을 받으면서 궁금한 점을 구체적으로 질문할 수 있어 머릿속에 잘 들어오는 것 같다. 단점은 속도가 느리고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답을 할 수 없다는 것이 아쉬웠다. 참고로 얼마 전, 아래 글에서 챗 GPT에 가입해서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적었으니 참조 바란다. 검색엔진과 달리 챗 GPT를 사용하려면 가입해야 한다. 챗GPT 이용하는 법 이 글에서 챗GPT에 사용에 대해 내가 아는 범위에서 적으려 한다. 아래에 챗G.. 텀블러에서 한글입력 문제 이 글에서 마이크로 블로그인 텀블러에서 한글 입력에 대해 적으려고 한다. 오랜만에 텀블러에 글을 쓰려고 했다. 몇 년 전에 내 텀블러에서 포스팅할 때 한글 입력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그런데 내가 윈도가 아니고 리눅스 민트를 쓰는 것 때문인지 몰라도 이번에는 아니었다. 예로 아래 그림처럼 제목에 첫 글자를 적으면 아래 그림과 같이 자음과 모음이 따로 입력됐다. 하지만 두 번째 글자를 입력했을 때 문제가 없었다. 그리고 내용과 태그를 입력할 때 또한 문제가 없었다. 단지, 제목에 첫 글자를 입력할 때만 문제가 있었다. 참고로 영어는 자음과 모음이 합쳐지지 않으니 문제없다. 만약 제목을 입력할 때 키보드의 스페이스바를 한 번 누르고 쓰면 괜찮았다. 그러면 한 칸 띄고 입력을 시작한다는 말이니 아래 그림과 .. 음악,스포티파이와 사운드클라우드 ABOUT 음원에 대한 기사를 읽으니 국내에서 음원 공급 업체는 카카오의 멜론, KT의 지니, SK의 플로, 네이버뮤직, NHN의 벅스였다. 그런 국내 음원 시장에 국외 음원 공룡인 스포티파이(Spotify)라는 업체가 들어오는 내용이었다. 그래서 우습지만 2014년 텀블러를 리뷰하면서 스포티파이를 접한 기억이 나서 텀블러와 티스토리 블로그 음악에 대한 간단히 적어보려 한다. 참고로 아래에 위키백과에서 설명하는 스포티파이에 대한 설명이다. 스포티파이는 상업적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이다. 사용자는 스포티파이를 이용하여, 메이저 음반사에서 라이선스한 음악을 스트리밍하여 들을 수 있다. 소프트웨어에 광고가 표시되거나 곡과 곡 사이 광고가 삽입된다. 서비스 이름은 spot과 identify의 혼성어이다. - 출처 : 위키.. 성인물이 없어진 텀블러를 오랜만에 보다 텀블러가 포르노 성인물 집합소가 되기 전부터 이 블로그에서 다루었다. 텀블러를 하다가 기간은 정확히 모르는데 접속하면 포르노 성인 블로그가 갑자기 나타나 깜짝 놀랐다. 나타나는 블로그는 텀블러가 정하는 것인데 모르는 사람은 내가 정한 줄 알아 변태로 생각... 이것은 네이버 블로그에 접속하면 내 이웃블로그 글이 나타나는 것과 비슷하다. 텀블러를 무작위로 나타나는 것 같다. 내가 차단하는 방법을 정확히 몰랐는지 성인물을 차단해도 나타났다. 그래서 중간에 텀블러를 그만두었다. 왜 자꾸 포르노 블로그가 나타나는지... 텀블러가 개인적으로 마음에 들었지만 자꾸 포르노 성인블로그(텀블러)가 나타나 사용을 중지했다. 지난해 12월 17일에 성인물이 퇴출됐다는 소식에 다시 텀블러에 관심이 생겼다. 다시 내 텀블러를 .. 보안로그인 두번째,워드프레스닷컴과 텀블러 며칠 전 2018/05/08 - 보안로그인 첫번째, 네이버/구글/다음에서 티스토리를 포함한 네이버, 구글, 다음의 보안 로그인을 간단히 다루었다. 그럼 이번에는 티스토리처럼 블로그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하는 워드프레스닷컴과 텀블러의 보안로그인을 어떨까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로 티스토리를 카카오가 운영한다고 다음의 보안로그인과 상관이 없다는 점을 알았으면 한다. 아래와 비교할 겸 적으면 며칠 전에 적었던 티스토리 보안로그인에서 나는 등록한 기기에서만 로그인을 허용하고 있으며 해외로그인을 차단하고 있다. 즉 등록하지 않은 운영체제의 브라우저로 로그인을 하려고 한다면 로그인을 허락 맡아야 한다. 그리고 해외에서 로그인을 하려고 하면 차단한다. 워드프레스닷컴의 보안을 봤더니 아래 그림 1번에 나왔듯 2단계 인증을.. 텀블러에디터 살펴보기 텀블러의 에디터는 아래 그림과 같은데 처음 접하면 낯설 것이다. 티스토리 등 국내 블로그와 구글 블로그 등 국외 블로그의 에디터와도 다르다. 그렇다고 크게 다르지는 않다. 익히면 아주 쉽다. 글쓰기를 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온다. 항상 제목과 내용을 입력해야 하는 에디터가 나오는 것이 아닌 원하는 에디터를 선택할 수 있다. 1번 텍스트를 제외하면 모든 에디터에서 제목이 없다. 제목이 없는 것은 페이스북 등에서 글쓰기와 비슷할 것이다. 만약 사진이나 동영상만 올리고 싶다면 사진과 동영상 에디터를 클릭하면 된다. 그러면 아래 그림처럼 사진과 동영상에 대한 에디터가 나와 하드디스크에 있는 파일을 올릴 수 있고 웹사이트에 있는 파일을 올릴 수 있다. 동영상은 유튜브나 비메오 등이다. 카카오TV나 네이버TV의 .. 텀블러에서 HTML과 블로그앱 평점 최근 에디터에 HTML에 대한 글을 쓰다가 텀블러 앱에서 HTML 옵션이 사라졌다는 것을 알았다. 예전에 텀블러에서 아래 그림에서 1번 아이콘을 누르면 오른쪽 그림 화면이 나와 HTML 모드로 변경할 수 있었는데 그것이 안 됐다. 텀블러는 갈수록 다른 사람은 모르나 나에겐 별로다. 왜냐면 단순한 것 같지만 워드프레스 복원 등 웬만한 것은 거의 다 됐기 때문이었다. 그렇다고 백업을 지원하지 않는다. PC에디터가 아니라 앱에서 없다는 것이니 오해말았으면 한다. 아래 그림은 텀블러에서 텍스트 에디터인데 1번 아이콘을 눌러 나오는 창에서 HTML을 선택하면 입력할 수 있다. 이 블로그에서 2014년에 텀블러를 다루었을 때 바로 텍스트 편집기에 HTML이 보였는데 이제는 1번을 눌러야 한다. 이번에 1번을 눌러 .. 백업과 복원으로 보는 해외블로그 티스토리 백업은 작년 2016에 종료됐고, 티스토리 복원은 앞선 2013년에 종료했다. 그래서 이제 티스토리에서 백업과 복원 기능 모두 지원하지 않는다. 그래서 백업과 복원을 생각하면서 한글을 지원하는 외국 블로그인 구글 블로그(Blogger)와 텀블러(Tumblr)를 바라보려 한다. 그리고 아랫글에 워드프레스 복원이 있을 것인데 이 블로그에서 워드프레스 복원을 많이 다루어서 지겨울 것이다. 구글 블로그와 텀블러의 백업과 복원을 알아 보고자 한다. 아래 그림을 보듯 구글 블로그의 경우 백업(콘텐츠 백업)과 복원(콘텐츠 가져오기) 모두 지원한다. 티스토리가 둘 다 종료했다는 점을 보면 비교된다. 텀블러는 해 본 사람은 알거나 아래에서 적지만 백업과 복원 둘 다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면 백업과 복원을 둘 다..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