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블로그 생활

(201)
티스토리 유료화, 첫 번째 이야기 얼마 전, 티스토리 포럼에 유료화에 대한 내용이 올라와 나에게 묻지 않았지만 의견을 적어본다. 참고로 티스토리 유료화에 대한 공지는 없었다. 대부분 사람들이 티스토리를 하는 이유라면 애드센스 때문일 것이다. 현재 내 블로그는 애드센스 수입이 미약하여 수입에 큰 관심이 없다. 하지만 예전에 있었다. 그리고 검색 유입의 경우 네이버 검색 유입은 없고 다음 유입도 얼마 전까지 없다가 요즘 한자릿수이다. 즉, 네이버와 다음 검색 유입에 관심도 없다. 현재는 글 쓸 플랫폼만 있으면 된다. 티스토리에 미련 없어 만약 유료화 된다면 남아 있을 이유가 없다. 예전에 이 블로그에 네이버 검색 유입이 있었고 애드센스 수입도 유의미했을 때라면 유료화되더라도 그 애드센스 수입으로 티스토리에 남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티스토리에서 악플과 스팸의 벽을 넘기 티스토리를 하면서 겪게 될 악플과 스팸에 대해 적고자 한다. 내가 블로그를 시작한 후로 나타나고 사라진 많은 기능이 있었다. 그런 것 중에 사라지지 않은 기능은 스팸과 악플을 막는 것이다. 다만 변한 것은 업데이트된 겉모습이다. 이것을 약간 삐딱하게 바라본다면 티스토리를 그만두지 말고 카카오에 도움이 될 콘텐츠를 계속 생산하라는 메시지... 전에 악플 때문에 블로그를 그만둬 질 좋은 콘텐츠를 생산하지 못한... 티스토리 플러그인 등 여러 기능이 많았지만 블로거가 많이 사용하지 않는다고 없어진 기능이 많았다. 이것을 생각한다면 나에겐 오랜 기간 동안 없어진 플러그인이 없다는 것이 놀랍다. 아래에 소개하는 글을 내 과거 글이고 글에 포함된 그림은 과거 티스토리 관리이다. 현재 티스토리 설정 그림과 다르다고 ..
블로그 소통 좋은 것만은... 이 글에서 블로그 소통의 부정적인 면에 대해 적어보려 한다. 블로그에서 얻을 수 있는 여러 긍정적 효과 중에 방문자와 소통이 있다. 블로그를 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몸에 배는데 소통이 그리 유쾌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 블로그 초기를 보면 댓글이 많고 지금은 댓글이 없다. 왜냐하면 소통에 대한 그렇게 즐겁지 않음을 느꼈기 때문이다. 블로그 초기에 내가 쓴 글이 다른 사람의 관심을 받으면서 댓글로 소통한다는 것이 즐거웠다. 글을 쓰면 어떤 댓글이 달리고 추천(공감)을 얼마나 받을까 나름 기대도 있었다. 관심을 갈구했었다. 2013년에 종료한 다음뷰 서비스의 추천수가 공감수로 변해 블로그 예전 글에 최근 글과 비교하여 공감수가 상당히 많다. 그 당시 추천수가 많았다. 내가 블로그를 시작할 때 공감 ..
네이버,다음은 아마추어지만 구글은 프로? 블로그 마케팅에 있어 전문가가 아닌 오랫동안 티스토리를 운영한 입장에서 네이버, 다음, 구글 검색에 대해 느낀 점을 이 글에서 적고자 한다. 내 이 티스토리가 2020년 4월 초에 네이버 검색 유입이 0이 되고 2022년 7월에 다음 검색 유입이 0이 되고 10월 하루 평균 1명이라는 유입이 발생해서 네이버 및 다음 검색에 부정적이다. 오랜 기간 운영한 블로그를 하루아침에 유입 0인 저품질로 보내는 네이버나 다음 검색을 좋게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구글 블로그, 텀블러 등에 네이버와 다음 검색 유입이 없어서 그런지 더 부정적이다. 참고로 아래 그림은 이 블로그 어제 유입 통계다. 블로그 마케팅 전문자의 글이나 영상을 보면 네이버나 다음 검색은 아마추어 같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구글 검색은 프로... ..
대표적 4가지 환상에 빠졌다. 이 글에서 블로그에 들어서게 되면서 내가 겪었던 악몽과 같은 상황에 대해 적고자 한다. 어떤 사람은 애드센스 등 수익에 대한 환상에 이끌려 티스토리를 하는 것인지 모른다. 애드센스 연장선에서 유튜브로 생각한다면 수익에 대한 환상은 더 할 것이다. 아래에서 블로그에 발을 들여놓게 되면서 겪었던 환상에 대해 적으려 한다. 소통 소통을 위해 블로그를 하는 블로거도 많을 것이다. 소통에 환상에 가진 사람은 좋은 말만 오고 간다고 생각한다. 일상생활을 생각해서 댓글에 선플만 가득할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악플은 없는 청정 구역일 것이라 생각하고 블로그에 발을 들이게 된다. 블로그 방문자에게는 일상생활 사람들에게 없는 익명이라는 가면이 존재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일상생활에서 누가 누군지 알 수 없는 가면을..
남의 불행이 나의 행복 지난달, 2022.10.15.에 있었던 카카오 서비스 장애로 카카오가 운영하는 블로그인 티스토리도 장애가 있었다. 많은 티스토리에 방문자 수, 애드센스 수익 감소 등의 많은 타격이 있었다. 서비스 장애 후 한 달이 가까워지면서 방문자 수 감소가 없어진 것 같지만 애드센스 수치는 예전처럼 돌아오지 않는 것 같지 않다. 애드센스 수익 등의 감소로 많은 티스토리 블로거가 심적으로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샤덴프로이데(독일어: Schadenfreude, 또는 드물게 Schadensfreude)는 남의 불행이나 고통을 보면서 느끼는 기쁨을 말한다. 상반되는 뜻을 담은 두 독일어 단어 'Schaden' (손실, 고통)과 'Freude' (환희, 기쁨)의 합성어이다...
다른 길로 빠지는 것의 걱정과 두려움 현재 이 블로그에 네이버와 다음 유입이 없어서 포털의 눈치를 전혀 보지 않고 글을 쓴다. 큰 유입에서 남은 것은 구글뿐이다. 어제 방문 통계는 아래와 같았다. 얼마 전까지 네이버와 다음 유입이 존재했을 때 통계에서 네이버, 다음 등 포털 유입을 매일 확인했다. 그때 다음 유입은 별로 없었기 때문에 네이버 유입이 정말 신경 쓰였다. 참고로 네이버 유입 0은 2000년 4월 초에 있었고 다음 유입 0은 올해, 2002년 7월 말에 발생했다. 그건 그렇고 예전에 내 블로그의 경우 네이버 유입이 거의 80%이고 나머지는 20%였다. 이 티스토리에 채울 소재가 부족해 상업적인 글로 채울 생각에 링크프라이스에서 소재를 가져올 생각을 했다. 그런데 그렇게 하는 것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이 있었다. 검색 유입에서 약 8..
소재를 위해 사소한 소재도 메모한다. 초기에 이 티스토리에 채울 소재가 넘쳐났지만 13년째인 지금은 그렇지 못하다. 지금은 생각나면 일단 메모를 한다. 메모하는 습관은 티스토리 초기에도 있었다. 달라진 점은 소재 확보를 위해 사소한 것도 메모한다. 사소한 소재를 여기에 채우기 위해 노력한다. 몇 개월 전에 간단히 메모만 하고 메모에 내용은 하루에 채우지 않는다. 메모장에 메모를 하는 것이 아닌 귀찮더라도 티스토리에 로그인하여 메모한다. 간단한 메모라 할지라도 몇 개월 동안 계속 내용을 추가하면 길어진다. 내가 티스토리를 오래 하면서 익힌 노하우라고 할 수 있다. 티스토리가 아니라도 일상생활에서도 충분히 익힐 수 있다. 예로 딴 일하다가 오거나 며칠 지나 다시 글을 읽어보면 추가할 사항이 생각난다. 특히 글을 발행하려고 한 날짜에 수정할 때 ..